24번 2번 문장에서 전치사 + 관계대명사는 무슨 역할을 하는 건가요. The point를 받아주는 역할인가요? 그럼 관계부사로 where은 안되나요..?
네 맞습니다. The point를 받아 설명해주고 있어요. 그치만 where은 의미전달은 가능하겠지만 어색하게 여겨집니다ㅠㅠ
비공개 질문
접근 권한이 필요합니다.
1. 네 맞습니다. 2. 우리가 본 것을 그대로 믿어서는 안 된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무언가를 볼 때, 단순히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과거 경험, 가정, 그리고 동기를 통해 해석하고 재구성해서 받아들이죠. 그래서 우리의 기억은 세상을 객관적으로 담아내지 못하고, 왜곡되거나 주관적으로 변형된 형태로 저장됩니다. 이 때문에 목격자 진술 같은 것도 완벽히 믿을 수 없다는 거구요. 결국, "보는 것"이 진실을 그대로 의미하지 않는다는 걸 말하고 있습니다.
21번 seeing is not believing 이라는 문장의 뜻은 뭐라고 해석하면 되나요..?
우리가 본 것을 그대로 믿어서는 안 된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무언가를 볼 때, 단순히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과거 경험, 가정, 그리고 동기를 통해 해석하고 재구성해서 받아들이죠. 그래서 우리의 기억은 세상을 객관적으로 담아내지 못하고, 왜곡되거나 주관적으로 변형된 형태로 저장됩니다. 이 때문에 목격자 진술 같은 것도 완벽히 믿을 수 없다는 거구요. 결국, "보는 것"이 진실을 그대로 의미하지 않는다는 걸 말하고 있습니다.
19번 3번 문장에서 Me, captain, the leader 모두 동격으로 봐도 되나요?
네 맞습니다.
모의고사 33번 지문 2번째 문장에서 생산자가 한 가지 버전의 제품만 만든다면 소비자는 더 많은 돈을 쓰려고 했을 수도 있어서 회사는 일부 수입을 잃을 것이라고 해석에 나와 있는데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갑니다. 이 글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모르겠어요 ㅜㅜ
제품이 한 가지 버전뿐이라면, 모든 소비자는 선택의 여지가 없이 그 제품만 살 수 있습니다. 이때 문제는, 어떤 소비자는 실제로 더 많은 돈을 쓰고 싶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소비자는 "이 제품이 조금 더 비싸더라도 더 많은 기능이 있었다면 샀을 텐데!"라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품이 딱 하나뿐이니, 제조사는 그들의 추가 지출 의사를 수익으로 연결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일부 수입을 잃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비공개 질문
접근 권한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사회적 압박을 의식적으로 깨닫게 되면, 행동이 더 이상 자발적으로 느껴지지 않고 억지스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행동이 진정성을 잃게 되고, 타인에게도 냉소적이거나 부자연스러운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동기가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처럼 느껴질 때에, 우리의 행동은 가장 효과적이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겠지요~
30번 선생님이 주신 모의고사 파일 26쪽에 한국어로 해설 된 문장 6번 문장부터 끝까지가 약간 변기같은 복잡한 계산을 이해할 필요가 없고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만 알면 되는데 그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잡한 계산에서의 자기 역할을 한다는 뜻인가요?
네~ 이 지문의 핵심은 우리가 복잡한 시스템 전체를 이해할 필요는 없고, 각자가 맡은 작은 역할만 잘 수행하면 된다는 점입니다. 각 개인은 작은 역할만 수행하며, 그것이 전체 사회라는 거대한 계산에 기여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변기의 예시는, 사용자가 버튼만 누를 줄 알면 복잡한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된다는 점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29번 언어적은유가 왜 수동적인지 이해가 안가욤,, 언어적은유를 이해하기위해 독자는 인지적인 노력을 해야하니까 오히려 능동적인거 아닌가요?
언어적 은유가 "수동적"이라고 표현되는 이유는 은유 자체가 어떤 세계나 개념을 독자에게 제안하는 역할만 하기 때문입니다. 은유는 독자에게 특정 이미지를 그려 보여주지만, 이를 강제로 이해시키거나 해석하게 하지는 않습니다. 반대로, 은유를 이해하려면 독자가 그 의미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은유가 제안하는 세계로 스스로 "들어가서" 해석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즉, 은유는 제시하는 입장에서 수동적이고, 이를 받아들이고 의미를 찾는 건 독자의 능동적인 역할이라는 점에서 두 측면이 공존합니다~~~
21번 어렵습니다